본문으로 바로가기

방정환 - 시골쥐 서울구경

category 근대문학과 경성 2019. 5. 31. 13:21

시골쥐가 서울 구경을 올라 왔습니다. 처음 길이라 허둥허둥하면서, 짐차를 두 번 세 번이나 갈아타고, 간신히 서울까지 왔습니다. 직행차를 타면 빨리 온다는 말도 들었지만, 그래도 짐차를 타야 먹을 것도 많고 사람의 눈에 들킬 염려도 적으므로, 짐차를 타고 온 것이었습니다.

기차가 한강 철교를 건널 때에는 어떻게 무서운 소리가 크게 나는지, 어지러워서 내려다보지도 왔지마는, 서울까지 다 왔다는 말을 들을 때에는 기쁜 것 같고 시원한 것 같으면서도, 가슴이 울렁울렁하였습니다.

남대문 정거장에 내려서, 자아 인제 어디로 가야 되나 하고 망설거리고 섰노라니까,

“여보, 여보!”

하고, 뒤에서 부르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보니까, 이름은 몰라도 역시 자기와 같은 쥐이므로 할아버지나 만난 것처럼 기뻐서,

“처음 뵙습니다만, 길을 좀 알려 주십시오. 시골서 처음 와 놓아서 그럽니다.”

하고, 애걸하듯이 물었습니다.

“글쎄, 처음부터 당신이 시골서 처음 온 양반인 줄 짐작했습니다. 서울 구경하러 올라오셨구려?”

“네에, 죽기 전에 한번 서울 구경좀 해 보려고, 그래 벼르고 별러서, 인제 간신히 오기는 왔지만, 와 보니 하도 어마어마하여 어디가 남쪽인지 어디가 북쪽인지 분간 못하겠습니다그려……. 우선 여관을 정해야겠는데 어느 여관이 좋은지 알 수가 있어야지요. 첫째 그놈의 고양이 없는 여관이라야 안 합니까……?”

“그럼, 여관으로 갈 것 없이 나하고 우리 집으로 갑시다그려. 그럼 돈도 들 염려없고, 고양이도 감히 오지 못하는 집이니까요. 뺑 돌아가면서 쇠로 된 양옥집이니까요.”

“예? 양옥집이어요? 훌륭한 집에 계십니다그려. 서울왔다가 양옥집 구경도 할 겸 그럼 댁에 가서 폐를 끼칠까요.”

“폐가 무슨 폐예요. 자아, 나를 따라오셔요. 까닥하면 길을 잃어버립니다.”

시골 쥐는 이제야 마음을 놓고, 서울 쥐의 뒤를 따라섰습니다.

“저기, 소리를 뿌우뿡 지르면서 달아나는 것이 저것이 자동차라는 것이랍니다. 다리 부러진 사람이나, 앉은뱅이나, 그렇지 않으면 중병 든 사람이나, 타고 다니는 것이지요. 저기 잉잉 울면서 집채만한 것이 달아나는 것은 전차라는 것입니다. 늙은이나 어린애나 아이 밴 여자들이 타고 다니는 것이지요. 돈 오전만 내면 거진 십 리나 되는 데까지 태워다 주는 거예요. 우리도 저것을 타고 갔으면 좋으련만, 우리는 타면 곧 밟힐 테니까, 그래서 못 타지요”

“아이고, 구경삼아 걸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지금 어디 불이 났습니까, 난리가 났습니까? 왜 사람들이 저렇게 황급히 뛰어갑니까?

“불은 무슨 불이어요. 서울 사람들은 으레 걸음걸이가 그렇지요. 서울서 사는 사람이 그렇게 시골처럼 담배나 피워 물고, 한가히 지내서야 살 수 있겠습니까? 굶어 죽지요. 저렇게 바쁘게 굴어도 그래도 돈벌이를 못하는 때가 많으니까요. 그러고 우선 전차, 마차, 자동차, 자전거가 저렇게 총알같이 왔다갔다하는데, 시골서처럼 한가히 굴다가는, 당장에 치어 죽을 것이 아닙니까?

“딴은 그렇겠는걸요. 구경만 하기에도 눈이 핑핑 도는 것 같은 걸요.”

“자아, 저것이 남대문입니다.

“아이고, 참 굉장히 큰걸요.”

“저 문 위에 올라가면 어떻게 넓은지, 우리들에게는 연병장 벌판만 하여 좋지만, 먹을 것이 없어요. 그래 텅 비었지요.”

이야기를 들으면서 눈을 두리번두리번하면서 서울 쥐를 따라 한참이나 갔습니다.

“자아, 다 왔습니다. 저기 새빨간 양옥집이 보이지 않습니까? 저 집이야요.”

보니까, 참말 새빨간 칠을 한 우뚝한 높은 집이 높다랗게 서 있었습니다.

“참 훌륭한 댁입니다그려. 아주 새빨갛습니다그려. 저 위에 노랗게 달린 것은 들창인가요?”

“네, 그것이 들창으로도 쓰고, 드나드는 대문으로도 쓰는 것입니다. 저렇게 높고 좁은 문으로 드나드니까, 고양이가 올 염려는 조금도 없습니다.”

“딴은요! 그렇겠는걸요.”

“자아 미끄러지지 않도록 속히 기어 올라오십시오. 내가 먼저 기어 올라갈 터이니, 곧 따라 올라오셔요”하고, 서울쥐가 조르르 기어 올라가서 노오란 쇠문이 덮인 구멍으로 쑥 들어갔습니다. 시골 쥐도 기어 올라가기는 원래 잘 하므로 곧 뒤따라 기어 올라가서, 뛰어 들어갔습니다.

“어떻습니까? 넓지요? 아무것보다도 마음이 놓이는 것은 고양이 걱정이 야요. 이 속에 이렇게 들어앉아 있으면, 아주 천하태평입니다. 자아, 좀 편히 쉬십시오.”

서울 쥐는 몹시도 친절하게 굴고 공손하게 대접하여서, 시골 쥐는 도리어 미안한 마음을 느끼게 할 만큼 고맙고 다행스러웠습니다.

시골서는 구경도 못하던 청요리 찌꺼기, 양과자 부스러기 같은 음식을 많이 내어 놓아서, 맛있게 먹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때에 시골쥐의 머리 위에 무언지 뚝 떨어지는 것이 있었습니다. 깜짝 놀라 보니까, 우표딱지 붙인 봉투였습니다. 시골 쥐가 어떻게 몹시 놀래었는지, 서울 쥐는 깔깔 웃으면서,

“그렇게 놀라실 것은 없습니다. 인제고 그런 편지가 자꾸 들어옵니다. 아무 염려 없어요. 이따가 잘 때에 깔고, 덮고, 자라고, 생기는 것이랍니다. 잠든 후에도 밤이 깊어갈수록 춥지 말라고 자꾸자꾸 그런 것이 생겨서 두둑하게 덮어줍니다.”

하고, 지금 떨어진 그 편지 봉투를 깔고 앉으라고, 시골 쥐에게 주었습니다.

“그리고, 가끔 가다 비가 몹시 오거나 하는 때에 먹을 것이 없으면 풀칠 많이 한 봉투를 뜯어 먹기도 하지요.”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 때에, 이번에는 신문지를 착착 접어 묶은 것이 떨어졌습니다.

“이번 편지는 꽤 큽니다그려.”

하고, 시골 쥐가 서울 쥐 보고 말했습니다.

“아니오. 이건 편지가 아니라 신문이라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 생기는 일이면, 무어든지 이 속에 모두 적혀 난답니다. 어! 어! 무엇이 났나 좀 읽어볼까?”

하고 그 신문을 펴 가지고 들여다보더니

“에이, 속상하군! 흑사병이 유행하니까, 우리들을 모두 잡아 죽여야 된다고 아주 크게 냈는걸…….”

“에구, 그럼 큰일 났구려, 공연히 올라왔구려! 맞아 죽으면 어쩌나요.”

“아니요. 그렇지만 이 집 속에 있으면 겁날 것은 없습니다. 아무 염려 말고 계십시오.”

시골 쥐는 간신히 마음 놓고, 편지를 깔고, 신문지를 이불로 덮고 드러누워서, 피곤한 판에 고단하게 잠이 들었습니다.

‘시골 손님이 잠자는 동안에 나는 나가서 먹을 양식을 얻어 가지고 와야겠다’

하고 서울 쥐는 밖으로 나갔습니다.

한참 지난 후, 밤이 차차로 밝아올 때였습니다.

‘재그럭 재그럭’하고 머리맡에서 이상스런 소리가 나므로 시골 쥐는 신문지 이불 속에서 눈이 뜨여서 움찔하였습니다. 큰일 났지요. 별안간에 머리맡에 있는 누런(이때까지 잠겨 있던) 문이 밖으로 열리면서, 커다란 손이 쑥 들어오더니, 거기 있는 편지고 엽서고 신문지고 모두 휩쓸어 내가더니, 문턱에서 굉장히 큰 가방 속에 몰아 넣었습니다.

신문지 밑에 웅크리고 있던 시골 쥐도 그 통에 휩쓸려서 가방으로 들어가고, ‘제꺽’하고 가방 문까지 잠겨 버렸습니다.

어쩐 영문을 모르는 시골 쥐는 이렇게 가방 속에 갇혀서 어디로 가는지 어떻게 되는지 겁도 나고 갑갑도 하여, 입으로 ‘각작 각작’ 가방 가죽을 뜯어 물어 떼어서, 구멍을 뚫어 놓고, 그리고 얼굴을 쑥 내밀고, 형편을 살펴보았습니다.

자기가 갇히어 있는 가방은 어떤 누런 모자 쓰고, 누런 양복 입은 사람의 어깨에 메여져서, 그의 궁둥이에 매달려서, 지금 어디로인지 자꾸 가는 중이었습니다.

아직도 이른 새벽이건만, 서울 남대문 안은 퍽 복잡하였습니다.

전차가 ‘잉잉’하면서 달아나고 인력거가 이 길 저 길로 곤두박질해 다니고, 자전거가 ‘따르릉 따르릉’하고 달아나고 마차 끄는 말까지, 아무 일 없는 강아지까지 급급히 뛰어가고, 뛰어오고 하였습니다.

대체 서울이란 굉장히 크고 좋기도 하지만, 굉장히 바쁘게 다니는 곳이다.

고, 시골 쥐가 생각할 때에 어느덧 자기를 메고 가는 누런 양복쟁이는 어느 커다란, 이번이야 말로 남대문 정거장같이 큰 벽돌집 뒷문으로 쑥 들어갔습니다.

들어가서는 마치 더러운 북더기(쓰레기)를 버리듯이 가방에 가지고 온 편지를 커다란 채통 속에 쏟았습니다.

“이크! 쥐야, 쥐다! 쥐가 우편 가방에서 나왔다!

하고, 누런 양복쟁이가 소리를 지르니까, 여러 십 명 되는 사무원들이,

“어디?”

“어디?”

하고, 우루루 몰려와서, 시골 쥐를 잡으려고 소동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시골 쥐는 잡히지 않고, 간신 간신히 도망하여 마루 밑에 숨었습니다.

“아아, 서울은 무섭다. 무서운 곳이다! 서울 쥐들은 친절하지만 양옥집도 무섭고, 흑사병도 무섭다. 에엣, 가방 구멍으로 내다보고 서울 구경은 꽤 한 셈이니, 인제는 달아나야겠다. 어서 달아나야겠다.”

하고, 그 날로 곧 시골로 내려갔습니다. (『어린이』, 1926.10.)

 

 

▲ 강홍식 노래, 범오 작사·번안곡, 1936년 6월 콜롬비아 레코드 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