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외순환선

category 친절한 구보씨 2019. 5. 22. 12:02

▲ 연희역 (1930)
▲ 아현터널 (http://bitly.kr/sZDE46)

어제 경성역으로 부터 신촌 오는 기동차에서다. 책보를 메기도 하고, 끼기도 한 소녀들이 참새 떼가 되어 재잘거리는 틈에서 한 아이는 얼굴을 무릎에 파묻고 흑흑 느껴 울고 있었다. 다른 아이들은 우는 동무에게 잠깐씩 눈은 던지면서도 달래려 하지 않고, 무슨 시험이 언제니, 아니니, 내기를 하자느니 하고 저희끼리만 재깔인다. 우는 아이는 기워 입은 적삼 등허리가 그저 들먹거린다. 왜 우느냐고 묻고 싶은데 마침 그 애들 뒤에 앉았던 큰 여학생 하나가 나보다 더 궁금했던지 먼저 물었다. 재재거리던 참새 떼는 딱 그치더니 하나가 대답하기를 

"걔 재봉한 걸 잃어 버렸어요." 한다. 

"학교에 바칠 걸 잃었니?" 

"아니야요. 바쳐서 잘 했다구 선생님이 칭찬해주신 걸 잃었어요. 그래 울어요." 

큰 여학생은 이내 우는 아이의 등을 흔들며 달랜다. 

"얘, 울문 뭘 허니? 운다구 찾아지니? 울어두 안 될 걸 우는 건 바보야." 

이 달래는 소리는 기동차 달아나는 소리에도 퍽 맑게 들리어, 나는 그 맑은 소리의 주인공을 다시 한 번 돌려 보았다. 중학생은 아니게 큰 처녀다. 분이 피어 그런지 흰이마와 서늘한 눈은 기동차의 유리창들보다도 신선한 처녀다. 나는 이내 굴속으로 들어온 기동차의 천장을 쳐다보면서 그가 우는 소녀에게 한 말을 생각해 보았다. 

"얘 울문 뭐하니? 운다구 찾아지니? 울어두 안 될걸 우는 건 바보야." 

이치에 맞는 말이다. 울기만 하는 것으로 찾아질 리 없고, 또 울어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을 우는 것은 확실히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울음에 있어 곧잘 어리석어진다. 더욱 이 말이, 여자로도 눈물에 제일 빠른 처녀로 한 말임에 생각할 재미도 있다. 그 희망에 찬 처녀를 저주해서가 아니라 그도 이제부터 교복을 벗고 한번 인간제복으로 갈아입고 나서는 날, 감정 때문에, 혹은 이해 상관으로 '울어도 안 될 것'을 울어야할 일이 없다 하지 못할 것이다. 

나는 신촌역을 내려서도 이 '울문 뭘 하니? 울어두 안 될 걸 우는 건 바보야' 소리를 생각하며 걸었다. (이태준, '작품애', 『무서록』, 1941)

 

**

노인은 이 아침에 온갖 보는 것 듣는 것이 자기에게 죽음을 재촉하는 듯싶은 안타까움을 느낀다. 그의 코웃음에는 이러한 안타까움이 섞여 있었다.  최주사가 다음에 그 앞으로 지나가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경성형무소의 우울한 건축물에 대하여서도 그는 또 한번,

"흥!"

하고 코웃음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로 말하면 다음에 그가 지나는 채전菜田에서 풍기어 나는 비료의 악취까지가 딴때 없이 그를 불쾌하게 만들어 준다. 그 근처 두 군데 약방과 한 군데 술집을 들른 다음에 최주사의 걷는 길은 마포우편소 앞 전차 정류소에서 바른손 편으로 꺾어졌다.

별은 있어도 바람은 좀더 쌀쌀하게 불었다. 바른손편 높은 둑 위를 기동차가 달려갔다. 그러나 그것은 눈을 들어 보려고도 하지 않고 최주사는 고개를 푸욱 수그린 채 꽁꽁 언 땅 위를 허청허청 걸었다. 

그는 지금 마악 들러 나온 술집에서의 일을 생각하면 이렇게 약가방을 둘러메고 이제부터 동막으로 해서 양화도를 들르려면 들러서 영등포로 휘돌아 돌아가기 싫었다.

"흥!"

하고 코웃음을 치고 그리고,

"빌어먹을……."

하고 그러한 소리까지를 덧붙이어서 중얼거린 최주사다. (박태원, '낙조', 1935)

 

**

생각해 보니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면서도 서강대신의 제삿날 밤 이후 거의 이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 나는 한 번도 창랑정에 가 본 일이 없는 것이다. 마침 공일이요 거기다가 시절도 바로 삼월이라 나는 점심을 먹은 후 산보 겸 카메라를 메고 집을 나섰다. 

처음 타보는 당인리행 기동차를 타고 서강에서 내려 나는 옛날 기억을 더듬어 창랑정을 찾아가려 하였다. 그러나 이상스레도 그 산이 어느 산 이든가, 그 집이 어느 집 이든가, 꿈속에서는 그렇게 똑똑하던 곳이 실지로 가보니 도저히 찾을 수가 없었다. 겨우 근사해 보이는 곳을 찾기는 하였으나 집 뒤 산이던 곳은 발간 북덕이요 그 밑 창랑정이 있던 듯이 생각되는 곳에는 낯모르는 큰 공장이 있어 하늘을 찌를 듯한 굴뚝으로 검은 연기를 토하고 있었다. (유진오, '창랑정기', 1939)

 


경성역을 중심으로 교외순환운전 

 

- 25일부터 운전할 터, 서소문, 아현리에 간이역

 

이른바 '큰서울'(대경성)의 도시계획도 십수년래 경성부당국이 연구회를 조직하여 책상머리에서 썩이는  터이거니와 이즈음의 서울은 아현리로, 성북동으로, 또 광희문 밖으로, 그리고 남산 저 쪽의 산 밑으로 한강을 건너 노량진으로 이렇게 뻗어나아감에 따라 버스, 전차 등의 교통기관이 운전로를 연장하여 가는 한편에 새로이 경인버스가 생겨 경인京仁가도에 가솔린 연기를 피우고 있다. 그런데 여기 그 첨단을 걷고 있는 것은 용산철도국의 교외선 연장이니, 옛날 용산에서 갈려가든 경의선의 폐물선로를 이용하여 방금 용산-당인리 간 매일 기동차를 운전하여 아침 저녁의 연장 일대주민의 통학 또는 통근에 편리를 주고 있는 터인데 지금까지 간이역이던 고양군 서강西江을 정식 정거장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이곳서부터 경의선 신촌-수색 간의 연희전문학교 부근에 접속을 시키어 정거장 이름을 연희延禧라 붙이고, 경의선 신촌과 경성역까지 터널 중간에 아현리, 서소문 밖으로 뚫린 합동蛤洞 철도길목에서 서소문 두 정거장을 두어, 

용산 - 원정元町[원효로] - 미생정彌生町[도원동] - 공덕리 - 동막 - 서강 - 서교리 - 당인리의 종래 당인리선 외에, 용산 - 원정 - 미생정 - 공덕리 - 동막 - 서강 - 연희 - 신촌 - 아현리 - 서소문 - 경성역,이렇게 순환교외선을 25일부터 하루에 아침, 저녘으로 두번 왕복을 늘려 운전하기로 되었으며, 불원한 장래에 이 운전을 용산까지 연장하여 경원선 청량리까지 완전히 경성을 싸고 돌 순환선의 운전을 실행할 계획이라 한다. (동아일보, 1930.12.5.)

▲ 경성 교외순환선 (1930)


 

 

 

'친절한 구보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초시의 상경上京  (0) 2019.06.01
전염병  (0) 2019.05.22
경성역 티룸  (0) 2019.05.21
제비다방 수영이  (0) 2019.05.21
엘만의 독주회  (0) 2019.05.21